본문 바로가기

미국 대학 전공

미국 명문대 진학 준비, 9-12 학년별로 철저히 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업 성적

목표 대학과 학년에 따라 준비해야 할 요소들이 달라

미래교육연구소, 전문 컨설팅 기관으로 학년별 로드맵 제공

 

미국 학제는 6-2-4-4다. 즉 초등 6년, 중학교 2년, 고등학교 4년, 대학 4년이다. 한국의 6-3-3-4 학제와 조금 다르다. 미국 대학을 본격 준비하는 시기는 고등학교 9학년부터 12학년까지 4년간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9-11학년이다.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대학의 결과가 달라진다. 들어가려는 미국 대학이 어느 수준인가에 따라 4년의 준비 과정이 달라진다. 7-8천미터의 히말라야 고봉을 오르느냐, 2-3천미터의 산에 오르느냐, 아니면 1천미터 미만의 낮은 산에 오르느냐에 따라 준비가 달라지는 것과 같다.

따라서 9-12학년별 대학 준비가 달라진다. 그런데 여기에 SAT 학원들과 영리만을 목표로 하는 학원/유학원들이 돈 벌이 목적으로 이것도 해야 한다, 저것도 해야 한다면서 전체적인 플랜이 마구 흐트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늘은 간략히 각 학년별로 해야 할 것들을 생각해 본다. 학년별 세밀한 로드맵은 개인의 목표와 능력, 부모님의 경제력에 따라 달라지니 미래교육연구소에 개별 상담을 요청해 짜 보기 바란다.

◆ 9학년 때 해야 할 일들

1. 12학년 때까지 고교 전반적인 플랜 짜기

미국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고등학교에서 어떤 과목을 들어야할 지에 대해 충분히 면밀히 검토한다. 9학년부터 제대로 이 과목들을 이수해 간다.

현재 자신이 다니는 학교에서 어떤 수준의 어떤 과목들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한다. 본인이나 부모가 하기 어려울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2. 수준 높은 도전적 과목들을 이수하기 시작한다.

적어도 매 학기에 5개 이상의 확실한 과목을 들어야 한다. 이 과목들에는 영어(language arts), 수학, 과학, 사회과학, 제2외국어 그리고 예술과목이 포함 되어야한다. 그리고 최우수 학점을 받도록 노력해야 하고,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더 한층 노력해야 한다.

3. 가능한 많이 읽고 쓰기를 하라.

그게 최고의 공부방법이다. 학교에서 내주는 숙제를 넘어서서 읽고 써야 한다. 그래야 발전이 있다. 책과 잡지를 읽어라. 그리고 쓰기 실력을 높이기 위해 블로그를 만들어 글을 올리던지 학교 저널에 기고를 해라. 그게 매우 좋은 쓰기 연습이다.

4. 액티비티에 대한 전반적인 로드맵을 짜야 한다.

5. 표준화 시험(SAT/ACT)에 대한 대략적인 플랜과 그 공부 방법에 대해 생각을 해야한다. 학원에 가면 해결된다고 생각하면 한심한 수준이다.

각각의 구체적 실행 로드맵을 짤 필요가 있다.

◆10학년 때 해야 할 일들

◆11학년 때 해야 할 일들

◆12학년 때 해야 할 일들

이에 대해 더 자세한 것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미래교육연구소는 그런 일을 하는 곳이다. <미래교육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