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ademic 성적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에세이
SAT보다 더 중요해졌다.
좋은 글은 쉽게 나오지 않는다.
지난해 미국 상위권 대학에 지원을 해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한 학생들의 기록을 보면 학업 성적은 우수한데 비학업적 요소에서 부실한 학생들을 많이 발견한다. 미국 대학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물론 학업적 부분, GPA, AP-IB 성적이고 부수적으로 SAT 점수다.
학생 성적을 보면 이 학생이 지원할 대학들이 보인다. 3.8 이상이라면 선택할 대학들이 많지만 3.0 미만의 학점을 가진 학생이고를 좋은 대학들은 많지 않다. 3.6 이상이라면 괜찮은 명문 주립대학에 지원이 가능하다. 3.8 이상 학생이라면 아이비리그 대학에 일단 지원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합격을 보장할 수는 없다 이때는 학업적 요소보다는 에세이, 추천서, 액티비티 등 비학업적 요소가 합격에 더 큰 영향을 미치지 때문이다.
오늘은 에세이에 대해 살펴본다. 미국 상위권 대학 입시에서 에세이 비중은 매우 크다. 에세이는 공통원서 에세이나 코엘리션 에세이가 있고, 이어 각 대학들이 제시하는 부가 에세이가 있다. 그런데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그 에세이의 중요성을 간과 한다. 많은 학부모들이 "우리 아이는 에세이를 잘 쓴다" 고 말한다. 정말일까? 잘 쓴다는 기준이 무엇일까?
필자가 보면 에세이 수준이 C도 안 되는 학생들이 태반이다. 그저 중학교 학생 일기처럼 쓰는 학생들이 아주 많다. 단어 수준도 표현의 수준도 아주 낮다. 더구나 무엇을 이야기 하려는지 주제가 잡히지 않는 경우도 많다. 에세이는 커피 머신에서 1천원을 넣고 누르면 떨어지는 인트턴트 커피가 아니다. 글은 생각하고 쓰고, 또 쓰고 나서 고쳐야 한다. 이런 과정을 많이 거칠수록 좋은 글이 나온다.
에세이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다. 그래서 필자는 11학년 2학기에 들어서자마자 학생들에게 주어진 에세이 프롬프트를 가지고 브레인스토밍을 시킨다. 에세이 튜터와 브레인 스토밍을 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스스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다. 잘 따라오는 학생들이 있는 반면 생각의 실타래를 전혀 풀지 못하는 학생들도 많다.
필자는 학부모들에게 "에세이는 누구 지도를 받았고, 첨삭을 누가 했는가?" 물어본다. "우리 아이가 썼고요. 첨삭도 받지 않았어요. 아이가 글을 잘 써요"라고 상당수 학부모들이 답을 한다. 높은 수준의 대학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글을 잘 쓰는 편이다. 이때 필자는 학부모에게 자녀의 글을 읽어보았는가 물어본다. 그러면 "나는 영어를 잘 못해서 아이 에세이를 읽어보지 못했다"라고 답을 한다. 그런데 그 학부모가 자녀의 에세이를 어떻게 평가를 했을까? 이런 경우가 많다.
필자는 "말씀대로 아이가 글을 잘 쓸 것이다. 그러나 아이가 지원한 대학이 요구하는 수준의 에세이를 쓰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라고 한다. 글은 그냥 저절로 써지는게 아니다. 에세이는 지원하는 대학이 요구하는 수준의 창의적이고, 비판적 시각에서의 글을 써야 한다. 에세이를 쓰려면 많은 글을 읽고, 많이 생각해야 한다. 영어권 국가의 학교에서 어릴적부터 훈련을 받지 않은 학생이라면 가급적 전문가의 평가와 도움을 받을 것을 권한다. <미래교육연구소장 이강렬 박사>


'미국대학 유학 & 장학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해 입시 기록으로 본 다트머스 대학 금년 입시 전망 (0) | 2023.08.05 |
---|---|
2024년 1월 미국 대학 편입, 더불어 장학금 받기 (0) | 2023.08.05 |
<지난해 기록으로 본 금년 입시 전망> 유펜 (0) | 2023.08.03 |
New Ivy 대학 <3> Davidson College/Emory University/Kenyon College(데이비슨, 에모리, 케년 대학) (0) | 2023.08.03 |
리버럴 아츠 칼리지(LAC) 모르면 미국 대학을 모르는 것 (0) | 2023.08.03 |